N잡러의 세상이야기/유용한 정보

빙AI, 빙 챗GPT 사용해보기 AI의 장·단점

제주N잡러 2023. 3. 17. 14:36

요즘 인공지능 AI가 단연 화재다.
챗지피티를 선두로 구글의 바드 그리고 마이크로소프트의 빙에서도 빙 AI를 선보였다.
먼저 빙(Bing)이라는 것은 마이크로소프트의 인터넷 브라우저인 엣지를 실행했을 때 보이는 검색창이다.
우리가 흔히 쓰는 네이버, 구글, 다음과 같은 검색 엔진이다.
이 빙이라는 검색 엔진에 인공지능 AI가 추가되었다
오늘은 빙AI, 빙 챗GPT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.
 

빙 AI 사용 방법

빙 등록
빙 Bing 채팅 등록

 
빙 (Bing)의 사이트에 접속하여 대기목록에 등록하자.
빙의 새로운 인공지능 대화형 챗봇은 바로 사용할 수 없고 승인을 받아야 한다.
승인까지 시일이 걸린다고 하는데 나는 바로 사용할 수 있었다.
 

빙 AI 승인 메일
빙 AI 승인 메일

 
이렇게 승인이 되면 메일이 오게 되는데 난 대기 목록에 등록한 지 단 1분 만에 승인 메일을 받았다.
여기서 chat now 버튼을 통해 바로 채팅을 할 수도 있다.
 

빙 AI 챗봇
빙 AI 챗봇

 
사이트에서는 왼쪽 위의 채팅이라는 메뉴에서 바로 빙 AI에게 질문을 할 수 있다
이제 복잡하고 창의적인 문장으로 된 질문을 할 수 있다.
 

AI의 장·단점

빙 챗지피티
빙 챗GPT 질문하기

 
먼저 단순하게 요거트 맛있게 만드는 방법을 질문해 보았다.
모르는 사람이 봤을 땐 이제 블로그나 검색 사이트에서 찾아보지 않아도 내가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고 보일 것이다.
하지만 이미 요거트를 만들어본 사람이라면 잘못된 정보가 섞여있는 것을 알 수 있다.
검색엔진 AI라서 인지 아래를 보면 자세한 정보라고 해서 개인 블로그에서 가져왔다는 게 나온다.
레시피라는 거 자체가 정답은 없는 거겠지만 신빙성 있는 사이트가 아닌 개인 사이트에서 짜깁기 한 결과다 보니 잘못된 정보가 있을 수 있다.
 

빙 챗지피티
빙 챗GPT 질문하기 2

 
이번엔 비를 주제로 창작을 해보았다.
역시나 그럴듯하게 에세이 한편이 나오긴 했지만 이 또한 여러 블로그에서 짜깁기 한 결과이다.
그러니 온전한 창작이라고 보긴 어렵겠다.
 

빙 AI의 장점

검색 엔진에서 찾기 힘든 복잡한 질문을 하기에는 빙 AI에서 원하는 답변을 쉽게 찾아볼 수 있는 장점이 있다.
특히 자세한 정보를 함께 볼 수 있어 더 빠른 검색을 할 수 있게 도와준다.

빙 AI의 단점

아무래도 검색 엔진 기반의 AI다 보니 이곳저곳에서 짜깁기 한 검색 결과로 정확성이나 신빙성을 알 수 없다.
대부분이 개인 블로그에서 가져와 출처에 대한 신뢰성이 없기 때문이다.
 

빙과 챗지피티의 차이점

그렇다면 챗지피티와 빙 AI는 무엇이 다를까?
챗지피티는 사람의 피드백을 활용한 강화학습을 통해 인간과 자연스러운 대화를 나누고 질문에 답변하며 창작도 한다.
하지만 챗지피티는 학습된 데이터가 없을 때 자신의 정보를 기반으로 그럴듯한 창작을 하기 때문에 실제 일어나지 않은 일에 대해서도 거짓으로 답변을 내놓는 경우가 발생한다.
빙 AI는 인공지능 기반으로 질문에 대한 검색을 하기 때문에 이런 경우 답변을 할 수 없다.
빙 AI와 챗지피티의 차이점은 바로 검색 여부이다.
 
빙AI와 챗지피티 모두 아직까지는 완벽하지 않아 사람이 쓴 글을 대체하기까지는 더 많은 보완이 필요해 보인다.
MS는 빙을 최신 운영체제인 윈도우 11에 기본 기능으로 탑재할 계획이라고 하니 본인 판단에 따라 잘 활용해 보면 좋겠다.
 
 
 

반응형